Mac 환경에서 Git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brew 설치하기 먼저 Homebrew 설치 페이지로 이동한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Install Homebrew 밑에 있는 긴 커맨드를 복사한다. 그리고 맥의 터미널을 열고 커맨드를 붙여 넣고 엔터를 치자. 엔터를 치면 Password 입력창이 나오는데 자신의 맥의 Password를 치고 엔터를 치자. 위와 같은 그림이 나오면 brew 설치는 성공적으로 끝이 난다. brew로 Git 설치하기 brew로 git을 설치하기 위해 brew install git 커맨드를 터미널에 입력하고 실행시킨다. 잠시 기다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면 git 설치가 완료된다. git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려면 터미널 창에 git 이..
Git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근본적인 질문으로 Git이란 무엇이고, GitHub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Git Git이 무엇일까? 간단하게 말해서 Git은 코드의 버전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버전 관리 과제 수행을 예시로 들어보자. 과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내용을 추가하며 수정하며 이전 완성본이 필요할 경우에 대비하여 파일을 남겨두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매번 달라지는 파일을 만들다보면 "과제보고서.doc", "과제보고서(수정).doc", "과제보고서(최종).doc", "과제보고서(진짜_최종).doc"과 같이 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여기엔 파일의 어떤 내용이 수정된 것인지 확인하기 어렵고, 파일의 중간 내용을 확인하기 어렵다(어떤 파일을 봐야 이 내용을 볼 수 있는가?) 는 문제점이 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