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 구조 개요 라우터는 인터넷 상의 Network를 서로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Input port function line termination = Physical Layer 담당 link layer protocol = Link Layer 담당 decentralized switching = 들어온 패킷을 forwarding table을 참조하여 도착된 패킷이 스위칭 구조를 통해 라우터가 어떤 출력 포트로 나갈지를 결정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를 전달하는 패킷은 Input port에서 “Routing Process”로 전달된다. decentralized switching의 forwarding기법에는 2가지 있는데, destination-based forwarding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오직 목적..
네트워크 계층은 sending host에서 receiving host로 segment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sender는 datagram을 segment로 캡슐화(encapsulation)하여 링크 계층으로 전달하고, receiver는 segment를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계층의 큰 두 가지 function은 forwarding과 routing으로, forwarding은 라우터의 input link에서 적절한 output link로 내보내는 것이고, routing은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크게 data plane과 control plane으로 구성되는데, data plane은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루는 영역이고..
Web page는 object들로 구성된다. object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자원들로, HTML 파일, JPEG 이미지, 오디오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는 base HTML-file로 구성되는데, 이는 여러 개의 참조된 객체(object)를 포함한다. 각 개체는 URL로 주소를 지정할 수 있다. → Web Page = HTML + object HTTP HTTP는 웹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로 구현된다. 클라이언트(Client)는 HTTP를 사용하여 Web object를 요청, 수신하고 출력하는 브라우저(browser)이다. 서버(Server)는 요청에 의한 응답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객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다양한 application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자. 1. Server-Client Server 서버는 항상 켜져 있는 호스트(always-on Host)이다. 모든 서버는 호스트이지만, 모든 호스트가 서버인 것은 아니다. → 네트워크에 연결이 확립된 모든 장치는 호스트의 자격이 있는 반면, 다른 장치(클라이언트)로부터의 연결을 수락하는 호스트만 서버가 될 수 있다. 영구적으로 고정된 주소 값을 가지며, 이를 IP address라 한다. 각 Server를 IP 주소로 구분한다. Client 서버와 통신한다. 클라이언트 간에 직접 통신하진 않는다. 유동 IP(dynamic IP) 주소를 가진다.(고정 IP를 사용할 수도 있다.) → Internet을 사용할 시점에 받아온다. 항상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간..
개발자가 설계하는 application이 다양한 end-system에서 어떻게 조직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End-system은 아래와 같이 5 계층이 모두 올라가 있다. Network app은 다른 end-system들 사이에서 동작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며, 예시로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와 브라우저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이 있다. Network-core device들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작성할 필요가 없다. Network-core device들은 user application을 실행하지 않을뿐더러, end-system 들의 application을 통해 신속한 앱 개발과 전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Application의 가능한 구조에는 Client-Server, Peer-to-Peer(P2P), P..
네트워크는 복잡하고 많은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host router link of various media applications protocols HW, SW ... 왜 계층화(layering)를 할까?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기 위해 layering이 필요하다. 명확한 구조를 통해서 복잡한 시스템 조각들의 식별과 관계 설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모듈화(modularization)를 통해 유지 보수와 시스템 업데이트가 용이해진다. Internet protocol stack Error collection의 경우 재전송하는 것과 같은 방법들이 protocol로 정의되어있다. 인터넷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계층을 가지고 있다(TCP 5 계층). 한 계층 씩 살펴보자. Physical Layer 어떤 하나의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