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이번 포스팅에서는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에 대하여 알아보자.


BeanFactory 계층 구조

최상위에 BeanFactory 인터페이스가 있고, 이를 상속받은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가 있다. 이를 통해 BeanFactory에 부가기능을 더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 밑에 우리가 사용했던 ApplicationConfig와 같은 구현 객체가 있다. 하나씩 살펴보자.

BeanFactory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이다. 이 BeanFactory에  .getBean()... 과 같이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이 모두 들어있다.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했던 대부분의 기능은 BeanFactory가 제공하는 기능이다.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빈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BeanFactory가 제공해주는데 굳이 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수많은 부가기능들이 필요하다. 이 부가기능들 때문에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하는 것이다.

 

ApplicationContext의 대표적인 부가기능들로는

  • 메시지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 한국에서 들어오면 한국어로, 영어권에서 들어오면 영어로 출력하는 것과 같은 기능
  • 환경변수
    • 실제 개발환경에서 로컬, 개발, 운영 등을 구분해서 처리하는 기능
  •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발행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도록 지원하는 기능

등이 있다. 


정리해보면,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기능을 상속받고, 빈 관리기능 + 편리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 부가기능이 포함된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이 인터페이스들을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