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01] Protocol Layers, Service models

네트워크는 복잡하고 많은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 host
  • router
  • link of various media
  • applications
  • protocols
  • HW, SW ...

왜 계층화(layering)를 할까?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기 위해 layering이 필요하다.

명확한 구조를 통해서 복잡한 시스템 조각들의 식별과 관계 설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모듈화(modularization)를 통해 유지 보수와 시스템 업데이트가 용이해진다.

 

Internet protocol stack

Error collection의 경우 재전송하는 것과 같은 방법들이 protocol로 정의되어있다.

인터넷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계층을 가지고 있다(TCP 5 계층). 한 계층 씩 살펴보자.

5-Layer

Physical Layer

어떤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기술들로 구성된다.네트워크의 높은 수준의 기능의 논리 데이터 구조를 기초로 하는 필수 계층이다. 다양한 특징의 하드웨어 기술이 접목되어 있기에 OSI 아키텍처에서 가장 복잡한 계층으로 간주된다.

Link Layer

인접한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실제 전달을 담당한다.

Ethernet, 802.11(WiFi), PPP ...등이 존재한다.

Network Layer

통신망에 연결된 시스템의 Data 전송과 교환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또한, 중간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패킷 포워딩을 담당한다.

전송 → 라우터를 통해 패킷 전달.

IP, routing protocol ...등이 존재한다.

Transport Layer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TCP와 UDP가 존재한다.

Application Layer

네트워크 application을 support.

통신망으로 연결된 응용 프로세서들의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계층이다.

Protocol을 결정한다.

IMAP, SMTP, HTTP...등이 존재한다.


Encapsulation

상위 계층에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하여 하위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컴퓨터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02] Application의 구조  (0) 2022.04.13
[CH.02] Application Layer  (0) 2022.04.12
[CH.01] Network Security  (0) 2022.04.10
[CH.01] Performance: loss, delay, throughput  (0) 2022.04.10
[CH.01] Network Core  (0) 2022.04.09